선수는 입장호명 시와 투로 완성 후, 심판장을 향해 포권례를 한다.
선수가 정지자세에서, 동작을 시작하면 계시를 시작하고, 선수가 투로 완성 후, 두발을 모아서면 계시도 종료한다.
선수가 검록과 시합의 규정시간에 참가하지 못하면 기권으로 처리한다.
국제올림픽헌장의 규정과 국제올림픽위원회의 관련요구에 의거하여 약물검사를 한다.
<표1-1 자선종목 장권 동작질량, 자주 나타나는 기타착오 감점내용 및 기준> | |||||||||||||||||||||||||||||||||||||||||||||||||||||||||||||||||||||||||||||||||||||||||||||||||||||
| |||||||||||||||||||||||||||||||||||||||||||||||||||||||||||||||||||||||||||||||||||||||||||||||||||||
주의: 1. 기계가 경계선 바깥 면에 닿거나 신체의 어느 부분이 허공을 통해 경기장 밖으로 나가더라도 출계로 판단하지 않는다. 2. 명기되지 않은 것의 감점배점은 모두 0.1점이다. 3. 한 동작에서 한 가지 또는 여러 가지의 자주 나타나는 착오내용이 출현되면, 모두 1차성으로 0.1점 감점하고, 누계하여 감점한다. 4. 한 동작에서 두 가지 이상의 기타착오가 출현되면, 누계하여 감점한다. | |||||||||||||||||||||||||||||||||||||||||||||||||||||||||||||||||||||||||||||||||||||||||||||||||||||
<표1 자선종목 태극권 동작질량, 자주 나타나는 기타착오 감점내용 및 기준> | |||||||||||||||||||||||||||||||||||||||||||||||||||||||||||||||||||||||||||||||||||||||||||||||||||||
| |||||||||||||||||||||||||||||||||||||||||||||||||||||||||||||||||||||||||||||||||||||||||||||||||||||
주의: 1. 기계가 경계선 바깥 면에 닿거나 신체의 어느 부분이 허공을 통해 경기장 밖으로 나가더라도 출계로 판단하지 않는다. 2. 명기되지 않은 것의 감점배점은 모두 0.1점이다. 3. 한 동작에서 한 가지 또는 여러 가지의 자주 나타나는 착오내용이 출현되면, 모두 1차성으로 0.1점 감점하고, 누계하여 감점한다. 4. 한 동작에서 두 가지 이상의 기타착오가 출현되면, 누계하여 감점한다. | |||||||||||||||||||||||||||||||||||||||||||||||||||||||||||||||||||||||||||||||||||||||||||||||||||||
<표1 자선종목 남권 동작질량, 자주 나타나는 기타착오 감점내용 및 기준> | |||||||||||||||||||||||||||||||||||||||||||||||||||||||||||||||||||||||||||||||||||||||||||||||||||||
| |||||||||||||||||||||||||||||||||||||||||||||||||||||||||||||||||||||||||||||||||||||||||||||||||||||
주의: 1. 기계가 경계선 바깥 면에 닿거나 신체의 어느 부분이 허공을 통해 경기장 밖으로 나가더라도 출계로 판단하지 않는다. 2. 명기되지 않은 것의 감점배점은 모두 0.1점이다. 3. 한 동작에서 한 가지 또는 여러 가지의 자주 나타나는 착오내용이 출현되면, 모두 1차성으로 0.1점 감점하고, 누계하여 감점한다. 4. 한 동작에서 두 가지 이상의 기타착오가 출현되면, 누계하여 감점한다. | |||||||||||||||||||||||||||||||||||||||||||||||||||||||||||||||||||||||||||||||||||||||||||||||||||||
<표2 자선종목 연기수준 등급의 채점기준> | |||||||||||||||||||||||||||||||||||||||||||||||||||||||||||||||||||||||||||||||||||||||||||||||||||||
| |||||||||||||||||||||||||||||||||||||||||||||||||||||||||||||||||||||||||||||||||||||||||||||||||||||
<표3 자선종목 연기수준 편배착오의 감점내용 및 기준> | |||||||||||||||||||||||||||||||||||||||||||||||||||||||||||||||||||||||||||||||||||||||||||||||||||||
| |||||||||||||||||||||||||||||||||||||||||||||||||||||||||||||||||||||||||||||||||||||||||||||||||||||
주의 : 명기되지 않은 것의 감점배점은 모두 0.1점이다. | |||||||||||||||||||||||||||||||||||||||||||||||||||||||||||||||||||||||||||||||||||||||||||||||||||||
<표4 자선종목 동작난도 등급내용과 배점확정표 표4-1 장권, 검술, 도술, 창술, 곤술 동작난도 등급내용과 배점확정> | |||||||||||||||||||||||||||||||||||||||||||||||||||||||||||||||||||||||||||||||||||||||||||||||||||||
| |||||||||||||||||||||||||||||||||||||||||||||||||||||||||||||||||||||||||||||||||||||||||||||||||||||
주의: 1. 353C 착지 시, 반드시 질수차로 연결해야 한다. 323B 착지 시, 반드시 질수차 또는 제슬독립으로 연결해야 한다. 324C 착지 시, 반드시 마보로 연결해야 한다. 323C 착지 시, 반드시 마보 또는 질수차로 연결해야 한다. 2. 312B 척기퇴는 반드시 기도퇴이다. | |||||||||||||||||||||||||||||||||||||||||||||||||||||||||||||||||||||||||||||||||||||||||||||||||||||
<표4-2 태극권, 태극검 동작난도 등급내용과 배점확정> | |||||||||||||||||||||||||||||||||||||||||||||||||||||||||||||||||||||||||||||||||||||||||||||||||||||
| |||||||||||||||||||||||||||||||||||||||||||||||||||||||||||||||||||||||||||||||||||||||||||||||||||||
주의: 1. 312A, 312B, 323B, 324B, 323C, 324C 도약동작의 도약 시, 1보만 디뎌서 도약할 수 있다. 2. 312B 척기퇴는 반드시 기도퇴이며, 322B, 323B, 323C 착지 시, 반드시 제슬독립으로 연결해야 하고, 324B, 324C 착지 시, 작지룡으로 연결할 때는 왼쪽다리를 앞으로 하여야 한다. | |||||||||||||||||||||||||||||||||||||||||||||||||||||||||||||||||||||||||||||||||||||||||||||||||||||
<표4-3 남권, 남도, 남곤 동작난도 등급내용과 배점확정> | |||||||||||||||||||||||||||||||||||||||||||||||||||||||||||||||||||||||||||||||||||||||||||||||||||||
| |||||||||||||||||||||||||||||||||||||||||||||||||||||||||||||||||||||||||||||||||||||||||||||||||||||
주의: 346A, 346B, 323B 착지 시, 반드시 접보로 연결해야 하고, 312A, 445A 착지 시, 반드시 제슬독립으로 연결해야 하며, 324B, 323C, 324C 착지 시, 반드시 마보로 연결해야 한다. | |||||||||||||||||||||||||||||||||||||||||||||||||||||||||||||||||||||||||||||||||||||||||||||||||||||
<표5 자선종목 연결난도 등급내용과 배점확정표 표5-1 장권, 검술, 도술, 창술, 곤술 연결난도 등급내용과 배점확정> | |||||||||||||||||||||||||||||||||||||||||||||||||||||||||||||||||||||||||||||||||||||||||||||||||||||
| |||||||||||||||||||||||||||||||||||||||||||||||||||||||||||||||||||||||||||||||||||||||||||||||||||||
주의: 1. 동정연결에서 연결동작은 반드시 정지상태가 나타나야 한다. 2. 병기투로에서 포접은 한 종류만 선택해서 할 수 있다. | |||||||||||||||||||||||||||||||||||||||||||||||||||||||||||||||||||||||||||||||||||||||||||||||||||||
<표5-2 태극권, 태극검 연결난도 등급내용과 배점확정> | |||||||||||||||||||||||||||||||||||||||||||||||||||||||||||||||||||||||||||||||||||||||||||||||||||||
| |||||||||||||||||||||||||||||||||||||||||||||||||||||||||||||||||||||||||||||||||||||||||||||||||||||
주의: 1. 한발 착지 시, 격향(척기)각과 착지하는 발은 당연히 같은 발이다. 2. 동정연결에서 연결동작은 반드시 정지상태가 나타나야 한다. 3. 작지룡 연결은 한 종류만 선택해서 할 수 있다. 4. 312A+324B와 312A+324C는 반드시 앞의 도약동작 양발 동시 착지 후, 직접 도약해야 한다. | |||||||||||||||||||||||||||||||||||||||||||||||||||||||||||||||||||||||||||||||||||||||||||||||||||||
<표5-3 남권, 남도, 남곤 연결난도 등급내용과 배점확정> | |||||||||||||||||||||||||||||||||||||||||||||||||||||||||||||||||||||||||||||||||||||||||||||||||||||
| |||||||||||||||||||||||||||||||||||||||||||||||||||||||||||||||||||||||||||||||||||||||||||||||||||||
주의: 1. 한발 착지 시, 격향(척기)각과 착지하는 발은 당연히 같은 발이다. 2. 동정연결에서 연결동작은 반드시 정지상태가 나타나야 한다. | |||||||||||||||||||||||||||||||||||||||||||||||||||||||||||||||||||||||||||||||||||||||||||||||||||||
<표6 자선종목 동작난도와 연결난도완성 시, 불 부합규정 확인표 표6-1 장권, 검술, 도술, 창술, 곤술 동작난도와 연결난도완성 시, 불 부합규정 확인> | |||||||||||||||||||||||||||||||||||||||||||||||||||||||||||||||||||||||||||||||||||||||||||||||||||||
| |||||||||||||||||||||||||||||||||||||||||||||||||||||||||||||||||||||||||||||||||||||||||||||||||||||
주의: 1. 전체도약동작에서 양발 착지 또는 전체도약동작에서 마보, 질수차 연결 착지는 도약 시, 양발간의 연결선과 착지 시, 양발간의 연결선으로 전체각도수를 계산한다. 2. 전체도약동작에서 한발 착지는 모두 그 발의 도약과 착지 시, 발끝과 발꿈치의 연장선으로 전체각도수를 계산한다. 3. 소전성 퇴법의 소전도수는 소전퇴의 발이 돌기 시작해서 정지한 때까지를 소전도수로 계산한다. 4. 연결동작 중, 323A+353C, 353B+323C의 보수는 도약동작 양발 착지 후 어떤 경우라도 발이 나아가면 보수로 계산 한다 312A+335A의 보수는 도약동작 양발 착지 후 어떤 경우라도 발이 나가면 보수로 계산한다. | |||||||||||||||||||||||||||||||||||||||||||||||||||||||||||||||||||||||||||||||||||||||||||||||||||||
<표6-2 태극권, 태극검 동작난도와 연결난도완성 시, 불 부합규정 확인> | |||||||||||||||||||||||||||||||||||||||||||||||||||||||||||||||||||||||||||||||||||||||||||||||||||||
| |||||||||||||||||||||||||||||||||||||||||||||||||||||||||||||||||||||||||||||||||||||||||||||||||||||
주의: 1. 모든 전체 도약동작에서 작지룡 연결 교차착지는 도약 시, 기도퇴(원지기도 전체방향과 같은 방향의 다리가 기준이다.) 발끝과 발꿈치의 연장선과 착지 시, 왼쪽 또는 오른쪽 다리 축선의 연장선으로 전체각도수를 계산한다. 2. 전체도약동작 한발 착지는 모두 그 발의 도약과 착지 시, 발끝과 발꿈치의 연장선으로 전체각도수를 계산한다. 3. 동동연결 중, 312A+324B, 312A+324C는 1보만 딛고 도약해야하고 두발 착지 시는 직접 도약해야 한다. 4 정정연결 중에는 상보를 해서는 안 되며, 모두 지탱발을 위주로 전체한다. | |||||||||||||||||||||||||||||||||||||||||||||||||||||||||||||||||||||||||||||||||||||||||||||||||||||
<표6-3 남권, 남도, 남곤 동작난도와 연결난도완성 시, 불 부합규정 확인> | |||||||||||||||||||||||||||||||||||||||||||||||||||||||||||||||||||||||||||||||||||||||||||||||||||||
| |||||||||||||||||||||||||||||||||||||||||||||||||||||||||||||||||||||||||||||||||||||||||||||||||||||
주의: 1. 전체 도약동작에서 양발 착지 또는 전체도약동작에서 보형연결 착지는, 도약 시, 양발간의 연결선과 착지 시, 양발간의 연결선으로 전체각도수를 계산한다. 2. 모든 전체도약동작에서 한발 착지는 모두 그 발의 도약과 착지 시, 발끝과 발꿈치의 연장선으로 전체각도수를 계산한다. 3. 소전성 퇴법의 소전도수는 소전퇴의 발이 돌기 시작해서 정지한 때까지를 소전도수로 계산한다. 4. 동동연결 중, 323A+346B의 보수는, 앞의 한 가지 도약동작에서 한발 착지 후, 어떠한 경우라도 발이 나아가면 보수로 계산한다. | |||||||||||||||||||||||||||||||||||||||||||||||||||||||||||||||||||||||||||||||||||||||||||||||||||||
<표7 대련종목 동작질량, 자주 나타나는 기타착오감점내용 및 기준> | ||||||||||||||||||||||||||||||||||||||
| ||||||||||||||||||||||||||||||||||||||
주의: 1. 기계가 경계선 바깥 면에 닿거나 신체의 어느 부분이 허공을 통해 경기장 밖으로 나가더라도 출계로 판단하지 않는다. 2. 이상의 착오가 출현된 사람은 모두 누계하여 감점한다. 3. 기계팽신은 상대의 기계가 자신의 몸에 닿는 것을 가리킨다. 4. 상세히 주를 달지 않은 감점배점은 모두 0.1점 감점이다. | ||||||||||||||||||||||||||||||||||||||
<표8 집체종목 동작질량, 자주 나타나는 기타착오감점내용 및 기준> | ||||||||||||||||||||||||||||||||||||||
| ||||||||||||||||||||||||||||||||||||||
<표9 대련종목, 집체종목, 동작난도요구가 없는 경기종목별 연기수준등급, 채점기준> | ||||||||||||||||||||||||||||||||||||||
| ||||||||||||||||||||||||||||||||||||||
1) 장권 CQ
1. 궁보 GB: 궁출퇴 무릎을 반쯤 구부려 앉고, 대퇴는 수평을 이룬다. 다른 한쪽 다리는 곧게 펴서 디디고, 발꿈치가 바닥
에서 떨어지지 않게 한다.
2. 허보 XB: 굴준퇴 대퇴를 수평으로 하고, 발꿈치는 바닥에서 떨어지지 않게 하며, 다른 한쪽다리의 발끝은 바닥에 댄다.
3. 부보 PB: 전준퇴 대퇴를 발꿈치에 접근시키고, 다른 한쪽다리는 펴서 바닥에 접근 시킨다. 양쪽 발꿈치는 바닥에서
떨어지면 안 된다.
4. 탄퇴 TT: 지탱퇴는 펴거나 약간 구부리고, 다른 한쪽다리는 발을 팽팽히 하여 무릎을 굽혔다가 앞을 향해 펴며 찬다.
힘은 발끝에 이르도록 한다.
5. 단퇴 CCT: 지탱퇴는 펴거나 약간 구부리고, 다른 한쪽다리의 발은 안쪽으로 구부려 당기고 무릎을 굽혔다가 옆을
향해 뻗어 찬다. 발은 허리보다 높아야 하고, 힘은 발 바닥에 이르도록 한다.
6. 후소퇴 HST: 지탱퇴의 발꿈치를 세우고 완전히 앉아서 회전한다. 소전퇴의 무릎을 펴서 한바퀴 또는 그 이상 소전
시킨다. 발꿈치는 바닥에서 떨어지면 안 된다.
7. 정주 DZ: 주먹은 쥐고 팔꿈치는 구부리며, 손바닥은 아래로 향하고, 팔꿈치 끝을 앞으로 또는 옆으로 친다. 힘은
팔꿈치 끝에 이르도록 한다.
8. 구퇴평형 KTPH: 지탱퇴 무릎을 반쯤 구부려 앉고, 다른 한쪽다리의 무릎은 구부리고 발끝을 치켜세워 지탱퇴의 무릎
뒤에 팽팽하게 건다.
2) 태극권 TJQ
1. 람작미 LQW: “붕” 팔은 반드시 호형을 갖추고, 가슴보다 낮아서는 안 되며, 궁보전퇴의 무릎이 발끝을 초과해서는
안 된다. “랄” 양손은 반드시 호형으로 운행 하고, 중심을 뒤로 이동 시, 양다리의 허실은 분명해야하며 상체는 중정을
유지한다. “제” 양팔은 앞을 향해 반드시 탱원으로 하고 앞쪽 팔은 입보다 높지 않게 한다. “안” 양팔은 반드시 호형으로 운행한다.
2. 야마분종 YMFZ: 손을 나눌 때, 양팔은 호형을 유지하며, 앞 손의 높이는 머리보다 높아서는 안 되고, 어깨보다
낮아서는 안 된다. 궁보전퇴의 무릎이 발끝을 초과해서는 안 된다.
3. 루슬요보 LX: 루수시, 팔을 펴서는 안 되며, 추장은 반드시 귀 옆을 지나 앞 방향으로 밀어야 한다. 상보 시, 뒷발을
바닥에 끌면 안 되고, 지탱퇴의 무릎을 굽히면 안 되며, 궁보전퇴의 무릎이 발끝을 초과하면 안 된다.
4. 운수 YS: 허리를 축으로 하여 양손을 움직이며, 몸 앞에서 휘감아 비틀어 돌리고 뒤집으며 입원을 만들어 낸다.
손의 높이는 눈썹보다 높아서는 안 되며, 중심이 갑자기 높아지거나 낮아져서는 안 된다.
5. 좌우천사 YNCS: 걷어 올리고 앞으로 미는 양손이 협조하여 일치돼야하며, 양팔은 호형을 이루고, 앞으로 미는 손은
눈썹보다 높아서는 안 되며, 허리보다 낮아서도 안 된다. 어깨는 가라앉히고 팔꿈치는 늘어뜨리며, 허리는 늦추고
엉덩이는 당긴다.
6. 엄수굉추 YSGC: 팔을 안으로 돌리고, 권을 옆구리에서 앞을 향해 구멍을 뚫고 털듯이 발경한다. 권은 가슴보다
높아서도, 허리보다 낮아서도 안 되며, 힘은 권면에 이르러야 한다.
7. 도권굉 DJH: 퇴보는 가볍고 영활하게, 신체는 안정돼서 좌우로 삐뚤어지지 않게, 앞으로 미는 손끝의 높이는 눈썹보다
높으면 안 되며, 어깨보다 낮아서도 안 된다.
8. 반란추 BLC: 손과 팔을 펴서는 안 된다. 반권과 란장의 움직임은 명확한 반원이 요구되며, 펴서 움직이면 안 된다.
신체가 회전하며 움직이는 것과 양팔의 동작이 알맞게 배합돼야 한다.
3) 남권 NQ
1. 접보(단접보(DDB)는 반드시 한쪽다리의 무릎은 구부리고, 다른 한쪽다리는 무릎을 꿇어앉으며, 소퇴와 발 안쪽은
바닥에 댄다. 쌍접보(SDB)는 반드시 양 무릎을 가까이 하고, 양 소퇴와 발의 안쪽은 모두 바닥에 댄다.
2. 기린보 QLOB: 좌우로 연속해서, 발을 옆으로 향하게 하여 큰 걸음으로 교차시킨다. 개보 시에는 촉박하게 하고,
낙보 시에는 무겁고 힘 있게 한다. 양발은 굴러서 울리지 않는다.
3. 기룡보 QLOB: 한쪽다리무릎을 구부려 앉고, 다른 쪽 다리 발꿈치를 세운다. 구부린 무릎을 바닥에 접근시켜 버티고,
양다리사이는 두발 반 정도를 유지한다. 후소퇴는 수평을 이룬다.
4. 괘개권 GGQ: 괘권은 반드시 위에서 아래로 빠르게 덮어 친다. 힘은 권배에 이르도록 한다. 개권은 반드시 위에서
아래로, 호형으로 휘둘러 친다. 팔은 약간 구부리고, 힘은 권면에 이른다.
5. 포권 PQ: 팔을 약간 구부리고, 아래에서 위를 향해 원형으로 권을 휘두른다. 힘은 권안에 이른다.
6. 횡정퇴 HDT: 발끝을 구부려 치키고, 다리를 구부렸다 편다. 한쪽 측면에서 다른 한쪽 측면으로, 횡으로 찬다.
힘은 발바닥의 외연에 이른다.
7. 호조 HZ: 호조는 다섯 손가락을 벌리는 것이 요구되며, 두 번째, 세 번째 마디를 구부리고, 모지를 제외한 나머지 네
손가락의 첫 번째 마디 손등 쪽으로 가능한 힘을 주어 편다. 장심은 볼록 나오게 한다.
8. 곤교 GQ: 앞 팔은 펴서, 앞쪽 아래로 향하며, 동시에 안쪽으로 돌린다. 힘은 하박 내측에 이른다.
4) 검술 Jian
1. 자검 JJ: 검을 곧게 찌르며, 힘은 검첨에 이른다. 팔과 검신은 일직선을 이룬다.
2. 괘검 GJ: 검을 세워서 앞으로부터 위에서 뒤로 또는 아래에서 뒤로 몸에 붙여서 입원으로 감아 돌린다. 힘은 검신
앞부분에 이른다.
3. 료검 LJ: 검을 세워 아래로부터 앞쪽 윗부분을 향해 호형으로 걷어 올려 벤다. 힘은 검신 앞부분에 이른다.
4. 점검 DJ: 손목을 제껴서 검을 세우고, 검첨을 사용하여 빠르게, 앞쪽 아래로 점찍듯이 찍는다. 힘은 검첨에 이른다.
5. 벽검 PJ: 검을 세워서 아래를 향해 쪼개듯이 내리친다. 힘은 검신에 이른다.
6. 붕검 BJ: 손목을 당겨서 검을 세우며, 검첨을 사용하여 빠르게, 앞쪽 위를 향해 튕겨 친다. 힘은 검첨에 이른다.
7. 절검 JJ: 검신이 사선으로 하여 위로 또는 아래로 향해 벌려 벤다. 힘은 검신 앞부분에 이른다.
8. 전완화 WHJ: 손목을 축으로 하여, 검을 세워서 팔 양측으로 앞쪽 아래를 향해, 몸에 붙여서 입원으로 감아 돌린다.
힘은 검첨에 이른다.
9. 보형: 궁보, 부보, 허보.
5) 도술 DS
1. 찰도 ZD: 도를 곧게 찌르며, 힘은 도첨에 이른다. 팔과 도신은 일직선을 이룬다.
2. 전두 CT: 도첨을 아래로 하여, 도배를 왼쪽 어깨에서 오른쪽 어깨까지 붙여서 감아 돌린다.
3. 과뇌 GN: 도첨을 아래로 하여, 도배를 오른쪽 어깨에서 왼쪽 어깨까지 붙여서 감아 돌린다.
4. 벽도 PD: 도를 세워서 위로부터 아래를 향해 쪼개듯이 친다. 힘은 도인에 이르게 한다.
5. 참도 ZnD: 도를 수평으로 하여, 좌우 횡으로 벤다. 머리보다 높으면 안 되며, 어깨보다 낮으면 안 된다. 힘은 도인에
이른다.
6. 괘도 GD: 도를 세워서 앞으로부터 위에서 뒤로 또는 아래에서 뒤로 몸에 붙여서 입원으로 감아 돌린다. 힘은 도배
앞부분에 이른다.
7. 운도 YD: 도신이 머리 위 또는 머리 앞 위에서 평원으로 감아 돌린다. 힘은 도배에 이른다.
8. 배화도 BHD: 손목을 축으로 하여, 도를 몸 앞, 등 뒤에서 몸에 붙여서 아래를 향해 입원으로 감아 돌린다.
힘은 도신에 이른다.
9. 보형: 궁보, 부보, 허보.
6) 창술 QS
1. 란창 LQ: 창첨이 밖으로 호를 긋는다. 머리보다 높으면 안 되며, 사타구니보다 낮아서도 안 된다. 힘은 창신 앞 쪽에
이른다.
2. 나창 NQ: 창첨이 안으로 호를 긋는다. 머리보다 높으면 안 되며, 사타구니보다 낮아서도 안 된다. 힘은 창신 앞 쪽에
이른다.
3. 찰창 ZQ: 창을 직선으로 찌르며, 힘은 창첨에 이른다. 뒷손은 반드시 앞 손에 붙인다.
4. 천창 CnQ: 창신은 반드시 목, 허리 또는 팔에 바짝 붙여서 뚫듯이 찌른다. 창신은 곧음이 요구된다.
5. 붕창 BQ: 창첨을 위로 또는 좌우로 향하여, 긴박하게 힘을 튕기고 털어 쓴다. 힘은 창첨에 이른다.
6. 점창 DQ: 창첨을 위로향하거나, 앞으로 향하거나, 아래로 향해 긴박하게 힘을 써서 찌른다. 힘은 창첨에 이른다.
7. 무화창 WHQ: 창신을 몸에 바짝 붙이고, 빠르게 연속해서 입원으로 돌린다.
8. 도파 TB: 창파를 아래에서 위로 들어올린다. 힘은 파단에 이른다.
9. 보형: 궁보, 부보, 허보.
7) 곤술 GS
1. 평륜곤: 곤초가 가슴부위이상 좌 또는 우로 반원이상 수평으로 휘두른다. 힘은 곤의 전단에 이른다.
2. 벽곤 PG: 곤초를 위에서 아래로 내리친다. 힘은 곤의 전단에 이른다.
3. 운곤 YG: 곤이 머리 앞 상방 또는 상방에서 평원으로 한바퀴 감아 돌린다. 힘은 곤의 전단에 이른다.
4. 붕곤 BG: 곤초를 위로 또는 좌우로 향하여, 긴박하게 힘을 튕기고 털어 쓴다. 힘은 곤초에 이른다.
5. 교곤 JG: 곤초 또는 곤파가 안쪽으로 향하거나 밖으로 향해 입원으로 감아 돌린다. 곤초 또는 곤파가 어깨보다 높으면 안 되며, 무릎보다 낮아서는 안 된다. 힘은 초단 또는 파단에 이른다.
6. 착곤 CG: 곤초 또는 곤파를 직선으로 앞을 향해 찌른다. 힘은 초단 또는 파단에 이른다.
7. 점곤 DG: 곤초를 아래로 향해, 빠르게 힘을 써서 찌른다. 힘은 곤초에 이른다.
8. 제료화곤 TLHG: 곤을 몸에 바짝 붙이는 것이 요구되며, 좌우로, 입원으로 감아 돌린다. 빠른 속도가 요구된다.
9. 보형: 궁보, 부보, 허보.
8) 태극검 TTJ
1. 자검 JJ: 검을 곧게 찌르며, 힘은 검첨에 이른다. 팔과 검신은 일직선을 이룬다.
2. 괘검 GJ: 검을 세워서 앞으로부터 위에서 뒤로 또는 아래에서 뒤로 몸에 붙여서 입원으로 감아 돌린다.
힘은 검신 앞부분에 이른다.
3. 료검 LJ: 검을 세워 아래로부터 앞쪽 윗부분을 향해 호형으로 걷어 올려 벤다. 힘은 검신 앞부분에 이른다.
4. 점검 DJ: 손목을 제껴서 검을 세우고, 검첨을 앞쪽 아래로 점찍듯이 찍는다. 힘은 검첨에 이른다.
5. 벽검 PJ: 검을 세워서 위에서 아래를 향해 쪼개듯이 내리친다. 힘은 검신에 이른다.
6. 절검 JeJ: 검신이 사선으로 하여 위로 또는 아래로 향해 벌려 벤다. 힘은 검신 앞부분에 이른다.
7. 말검 MJ: 검이 수평으로 우(좌)측 앞쪽을 향하고, 좌(우)측 방향으로 뻗쳐 끌어 호형을 이룬다. 높이는 가슴과
복부사이며, 힘은 검신에 이른다.
8. 교검 JoJ: 검을 수평하게 하여, 검첨이 좌(우)측 방향으로 작은 입원되게 감아 돌린다. 힘은 검신 앞부분에 이르도록
하며, 팔꿈치는 약간 구부린다.
9. 보형: 궁보, 부보, 허보.
9) 남도 ND
1. 전두 GN: 도첨을 밑으로 하여, 도배를 왼쪽 어깨에서 오른쪽 어깨까지 붙여 감아 돌리며, 두부는 바르게 세운다.
2. 과뇌 GN: 도첨을 밑으로 하여, 도배를 오른쪽 어깨에서 왼쪽 어깨까지 붙여 감아 돌리며, 두부는 바르게 세운다.
3. 벽도 PD: 도를 세워서 위로부터 아래를 향해 쪼개듯이 치며, 힘은 도인에 이른다. 팔과 도는 일직선을 이룬다.
4. 말도 MD: 도인을 좌(우)측 앞쪽을 향하게 하여, 좌(우)측 방향으로 뻗쳐 끌어 호형을 이룬다. 높이는 가슴과
복부사이며, 힘은 도인에 이른다.
5. 격도 GD: 도첨을 위(아래)로 향하게 하여, 좌(우)측으로 벌여 막는다. 힘은 도신에 이른다.
6. 절도 ND: 도인을 사선으로 하여, 위로 향하거나 아래를 향해 벤다. 힘은 도인 앞부분에 이른다.
7. 소도 SD: 도인을 좌(우)측 앞쪽을 향하게 하여, 좌(우)측을 향해 횡으로 벤다. 높이는 복사뼈높이며, 힘은 도인에
이른다.
8. 전완화도 JWHD: 손목을 축으로 하여, 도가 팔 양측으로 몸에 바짝 붙여서 입원으로 감아 돌린다. 도인과 도배는
분명해야 한다.
9. 보형: 궁보, 허보, 기룡보.
10) 남곤 NG
1. 벽곤 PG: 양손으로 곤을 잡고, 곤으로 위에서 아래로 쪼개는 힘을 사용한다. 힘은 곤의 전단에 이른다.
2. 붕곤 BG: 양손으로 곤을 잡아, 앞 손은 팔꿈치를 구부리며 돌려 당기고, 뒷손은 앞으로 민다. 곤초를 위로 향하거나
좌우로 빠르게 힘을 사용한다. 힘은 곤초에 이른다.
3. 교곤 JG: 곤초 또는 곤파가 안쪽으로 향하거나 밖으로 향해 입원으로 감아 돌린다. 어깨보다 높으면 안 되며, 무릎보다
낮아서는 안 된다. 힘은 초단 또는 파단에 이른다.
4. 곤압곤 GYG: 양손으로 곤을 잡고 동시에 돌려 당긴다. 앞 손의 팔은 밖으로 돌면서, 대퇴위에 가라앉혀 누른다.
수심은 위로 향하고, 힘은 곤의 전단에 이른다.
5. 격곤 GG: 곤신을 수직으로 세우고, 몸 앞에서 좌(우)측을 향해 횡으로 막는다. 힘은 곤신에 이른다.
6. 격곤 JG: 양손으로 곤을 잡고, 곤의 초단 또는 파단으로 좌우를 향하여 횡으로 친다. 힘은 곤단에 이른다.
7. 정곤 DG: 양손으로 곤을 잡고, 곤초가 앞쪽 위로 향하게 하여 부딪치며, 곤파를 바닥에 기둥처럼 세운다. 힘은 곤첨에 이른다.
8. 포곤 PoG: 양손으로 곤을 잡고, 아래로부터 위를 향해 힘을 모아 던져 친다. 힘은 곤초에 이른다.
9. 보형: 궁보, 허보, 기룡보.
1) 장권
1. 수형: 권, 장, 구.
2. 보형: 헐보, 좌반, 정보, 정자보, 반마보, 병보, 고허보, 횡차, 수차, 차보, 횡당보.
3. 보법: 상보, 퇴보, 삽보, 개보, 행보, 종보, 약보, 답보, 격보.
4. 권법: 충권, 벽권, 관권, 잡권, 재권, 료권, 초권, 붕권, 횡권.
5. 장법: 추장, 도장, 천장, 량장, 가장, 개장, 감장, 안장, 벽장.
6. 주법: 반주, 격주, 가주, 고주.
7. 퇴법: 등퇴, 정척퇴, 사척퇴, 측척퇴, 도척퇴, 단박각, 이합박각, 파련박각, 점퇴, 산퇴, 전퇴.
8. 평형(정지시간 반드시 1초유지): 제슬평형, 반퇴평형, 탐해평형, 망월평형, 와운평형.
9. 도약: 등공전탄, 등공전신도, 랍퇴번신도, 등공사비각, 등공쌍비각, 등공연환비각, 등공도척.
2) 태극권
1. 수형: 권, 장, 구.
2. 동작: 람찰의, 랄제세, 전신대랄, 여봉사폐, 백학량시, 사비세, 수휘비파, 사신고, 배절고, 단편, 섬통비, 고탐마,
루슬타추, 재추, 주저추, 곤주, 피신복호, 만궁사호, 금계독립, 독립과호, 상보칠성.
3) 남권
1. 수형: 권, 단주권, 오공권, 학정권, 봉안권, 강자권, 장, 용두장, 용조, 응조, 학취수, 학정수, 단지, 쌍지, 겸도구.
2. 보형: 궁보, 허보, 마보, 겸양마보, 쌍궁보, 반마보, 질좌반보, 궤보, 독립보, 횡당보, 호당보, 괴보, 좌련보.
3. 보법: 상보, 퇴보, 진보, 철보, 도삽보, 약보, 과보, 괴보, 타보, 개도보.
4. 권법: 편권, 소권, 정권, 당권, 관권, 벽권, 충권, 삽권.
5. 장법: 절장, 삽장, 차장, 접장, 추장, 도장, 탁장, 복장, 탱장, 호신장.
6. 조법: 앙조, 조조, 나조, 삽조, 료조, 륵수.
7. 구수수법: 전탁, 횡탁, 구루수, 료탁.
8. 지법: 추지, 삽지.
9. 교법: 권교, 침교, 벽교, 전교, 전교, 천교, 추교, 압교, 절교, 가교, 공교, 달교.
10. 주법: 당주, 압주, 정주, 제주, 격주, 고주, 단주, 전주.
11. 퇴법: 등퇴, 측단퇴, 후파퇴, 전소퇴, 후소퇴, 채퇴, 타퇴, 산퇴, 호미퇴, 후괘퇴, 료퇴, 편마.
12. 평형
13. 도약: 등공전탄, 등공괘면, 도약쌍호미퇴
4) 검술
운검, 말검, 교검, 천검, 소검, 가검, 도검, 포검, 란검, 제검, 대검, 삭검, 료완화.
5) 도술
료도, 소도, 감도, 완화도, 절도, 장도, 견배도, 붕도, 점도, 도도, 말도, 추도, 착도, 분도, 대도, 포도, 봉도, 가도, 격도,
안도.
6) 창술
도창, 벽창, 발창, 솔창, 전창, 파창, 요후천창, 소창, 대창, 랍창, 타창, 가창, 박창, 견배창, 포창, 료창, 축창, 벽파, 교파, 착파, 횡격파, 발파, 괘파, 소파.
7) 곤술
발곤, 점곤, 천곤, 추곤, 가곤, 란곤, 탁곤, 도곤, 괘곤, 압곤, 소곤, 포곤, 거곤, 협곤, 횡격곤, 포접곤, 단수무화곤, 주지곤.
8) 태극검
운검, 가검, 도검, 포검, 란검, 제검, 대검, 삭검, 천검, 소검, 참검.
9) 남도
운도, 괘도, 료도, 감도, 장도, 견배도, 붕도, 점도, 도도, 추도, 좌도, 분도, 대도, 포도, 봉도, 가도, 안도, 참도.
10) 남곤
륜곤, 천곤, 추곤, 가곤, 란곤, 탁곤, 도곤, 괘곤, 압곤, 발곤, 소곤, 점곤, 붕곤, 착곤, 개곤, 탄곤, 솔곤, 무화곤, 좌곤,
장곤, 포곤, 협곤.
1) 경기장 설명도
설명: 심판석은 위원장석 맞은편에 위치하고, 두 줄로 나눠서 배치한다. 뒷자리는 앞자리보다 40cm 높게 하고, 심판원간에는 50cm의 간격이 있어야 한다. 1, 4, 7은 A조 심판원석. | |||
2) 상용서식![]() 국제우슈연합회 기술위원회 제작 ![]() 3) 자선종목난도 코드 식별대조표 ![]()
|